[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김학순 공개 증언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발표문 모집
한국여성학회 2021-06-09

 

김학순 공개 증언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발표문 모집 안내를 드립니다. 
 
2021년 8월 14일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김학순의 공개증언 30주년을 기하여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와 일본군\'위안부\'연구회 공동으로 2021년 8월 13일 (금)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연구자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발표주제: ①김학순 증언의 의미와 파장, ②역사부정론의 확장, ③기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과제 및 방향 제시
신청기한: 2021.6.25.(금) (한국시간 자정)
신청방법: 신청서 작성하여 이메일로 제출
*최종 발표문 시한은 선정자에 한해 개별 통보
 
신청서식 및 선정절차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집안내 링크: https://bit.ly/2SwENmg
 
 
김학순 공개 증언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발표문 모집
 
 
2021년 8월 14일은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 김학순 공개 증언 3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김학순의 용기 있는 공개 증언은 침묵 속에 파묻혀 있던 진실을 세상에 드러내고, 민들레 홀씨처럼 퍼져 나가 전 세계 피해자들을 일깨움으로써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는데 기여했습니다. 전시 성폭력 불처벌의 역사를 끝장내고 보편적 여성인권 실현을 위해 싸울 것을 전 세계 시민사회에 주문했으며,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군국주의로 점철된 국제질서에 도전하며 피해 여성의 관점에서 국제인권규범을 새로 써 왔습니다.
 
김학순 최초 공개증언 30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일본국은 법적 책임을 회피하며 조직적인 소녀상 철거와 역사부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에 힘입은 전 세계 극우 혐오세력과 역사부정론자들의 활동도 확장되고 있습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상황에서, 생존 피해자는 이제 열 네 분에 불과합니다.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억하고 의미를 확산하며 계승해 나갈지 방향 모색도 시급합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와 일본군’위안부’연구회는 8.14 세계일본군‘위안부’기림일 주간을 맞아 8월 13일(금), 김학순 증언 이후 지난 30년을 돌아보며 일본군성노예제 문제의 진실을 알리고, 투쟁한 피해자 활동의 의미 등을 다각도로 논의하고자 합니다. 전 세계에 관심 있는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합니다.
 
학술대회 일시 및 장소
· 일시: 2021년 8월 13일(금), 오전 10시~오후 6시
· 장소: 청년문화공간JU동교동
· 언어: 한영일 동시통역
 
발표 주제 및 형식
· 김학순 증언의 의미와 파장(waves)
- 증언의 의미, 다른 피해자들에 끼친 영향, 피해당사자 운동의 의미, 법적 책임 추구 과정 등
- 학술적 영향(증언채록의 중요성, 구술사, 여성사, 페미니즘 이론 등)
- 시민사회 운동에 미친 영향(국내외 시민사회 성장과 운동의 확산 등)
- 유엔 등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국제인권규범의 변화 등)
· 역사부정론의 확장
- 국내외 역사부정론 현황과 분석
- 역사부정세력 네트워크 분석
- 해외 소녀상 철거/저지 운동 분석 등
· 기타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과제 및 방향 제시
· 선정된 신청자들의 최종 발표문은 학술 논문 형식에 따름(분량은 A4용지 최소 5쪽 이상). 상세한 내용은 선정 후 개별 안내 예정
 
발표 신청서 제출
· 제출 마감: 2021년 6월 25일(금) (한국시간 자정). 첨부 파일에 내용을 작성해 museum@womenandwar.net (담당: 윤지현, 고나경)으로 제출 (언어: 한영일 가능)
· 심사를 거쳐 최종 발표 확정
· 최종 발표문 시한은 선정자에 한해 개별 통보함
· 선정된 발표자에게는 소정의 발표비 지급
 
연락처 (Contact us)
관련 내용 문의: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윤지현, 고나경
museum@womenandwar.net, 02-392-5252

 

돌아가기 Back
주소: (우: 08787) 서울 관악구 관악로 13길 25, 202호(봉천동, 세종오피스텔) 이메일 kwss21@daum.net 『한국여성학』 ISSN 1226-3117(Print)ㅣ ISSN 2713-6604(Onlin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