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지
논문집필요강
원고집필요강
▪ 원고 작성 지침
1. 투고 논문은 우리말로 쓴 글로서 아래의 원고 작성 지침에 따라야 한다.
2. 연구논문의 분량은 각주, 참고문헌, 도표 등을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로 한다. 분량을 초과할 경우 원고지 5매당 1만원의 추가 인쇄비를 부담해야 하며, 이 경우라도 총 175매를 넘을 수 없다. 서평은 200자 원고지 30매 내외로 한다.
3. 글자크기는 폰트 10으로 하고, 줄 간격은 170으로 한다.
4. 투고 논문의 첫 장에는 논문 제목과 저자의 이름을 명기한다. 필자가 복수일 경우에는 횡렬로 기재한다. 감사의 말이나 연구비 수령 사실은 논문 제목에 각주(*)처리하고, 소속(소속기관명, 직위)과 이메일을 저자의 이름에 각주(**)처리한다.
5. 원고는 제목, 국문초록, 국문 주제어, 본문, 참고문헌, 영문초록, 영문 주제어의 순서로 작성한다.
6. 본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한자를 쓰도록 하며, 기타의 외래어는 첫 번에 한하여 한글 원문 옆에 괄호하여 쓴다.
▪ 초록 작성 지침
1. 국문 요약문은 글자(공백포함) 800자 이내로, 영문 요약문은 200단어(낱말) 이내로 작성한다. 국문요약과 영문요약에는 4-5개 정도의 주제어를 첨부한다.
2. 초록은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포함하여 작성한다.
3. 영문초록에는 영문제목, 투고자의 영문성명(성, 이름)과 소속 및 지위를 줄을 바꾸어 쓴다.
예)
▪ 본문 서술 지침
1. 장ㆍ절ㆍ항ㆍ목의 번호는 Ⅰ., 1., 1), (1)의 순서로 매긴다.
2. 강조어는 ‘ ’, 인용구는 “ ”로 둘러싼다.
3. 저술 인용 방식은 저자의 이름과 저서의 출판연도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인용 페이지를 기재하도록 한다.예) (이효재, 1976: 150)
4. 저자의 이름이 외국어인 경우, 첫 번에 한하여 원명을 괄호 속에 담고, 그 이후에는 한글로 표기한다. 한글 표기와 원명 모두 성(last name)만 제시한다.
예)
5. 2인 이상의 공동저술일 경우, 저자명 사이에 가운데점(·)을 넣어 구분한다. 예) (이혜정·송다영, 2021)
6. 저자가 다수일 경우에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하고, 4인 이상은 첫째 저자만 표시하고 그 외의 저자는 ‘외’ 또는 ‘et al.’로 나타낸다. 예) 조혜정 외(1995), 또는 Scott et al.(1999)
7. 인용되는 도서명이 여러 권인 경우에는 책이름 사이에 쌍반점(;)을 표기한다. 예) (박용옥, 1975; Anderson, 1983)
8. 연도가 다른 동일 저자의 저술을 인용할 때에는 저자명과 연도를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예) (김수아, 2017; 김수아, 2020)
9. 연도가 동일한 동일 저자의 저술을 인용할 때에는 저자명과 연도를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예) (장수정, 2020a; 장수정 2020b)
10. 두 개 이상의 저술을 인용할 때는 연도순으로 나열하고, 동일연도 내에서는 저자 이름순으로 나열한다.
예) (류한소, 2012; 박혜경, 2012; 이현정, 2012; 김수미, 2014; 김환석, 2015; 김현미, 2018; 배성신, 2019), (LaRossa, 1988; Johansson and Klinth, 2008; Smith, 2016; Hunter, Riggs, and Augoustinos, 2017)
11. 인터넷 자료를 인용할 때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신문 기사를 인용할 때: (「신문 이름」, 년.월.일.) 예) (「한겨레」, 2020.4.3.)
- 인터넷 홈페이지를 인용할 때: (페이지 이름) 예)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글을 인용할 때: (페이지 이름, 게시년.월.일.) 예) (한국여성학회, 2022.3.9.)
12. 영상들을 인용할 때는 <영상 제목>으로 표기한다.
13. 번역서를 인용할 때는 참고문헌 목록의 한글 저자명과 번역서 출판 연도를 표기한다. 예) (커테이, 2016)
14. 각주는 꼭 필요한 것만 달고 가급적 10개 내외로 최소화한다.
15. 3줄 이상의 인용문은 블록 인용으로 한다. 이때 인용문의 좌우여백은 본문보다 2칸씩 들여쓰기 한다. 면접 사례 등을 인용할 경우 “사례”라는 글자와 사례 번호를 “< >”로 감싼 후 괄호 안에 넣는다. 이때 “사례”라는 글자와 번호 사이는 한 칸 띄어 쓴다.(예) (<사례 12>)). 마침표는 괄호 바깥에 찍는다. 인용문 및 사례 번호 등은 모두 본문과 같은 글씨체로 한다. 인용문의 글자 크기는 본문보다 한 포인트 작게 한다.
16. 한글 문장에 쌍점(:)이나 쌍반점(;)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17. 줄표를 사용할 경우 붙임표(-)와 구분하기 위하여 줄표는 한글 프로그램의 문자표에 있는 “―”로, 붙임표는 문자표의 “-”로 표시한다.
18. 표는 반드시 한글 프로그램의 표 만들기 메뉴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표 번호는 “< >” 표시 안에 넣는다.
19. 표나 그림의 제목은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표나 그림의 위 중앙에 배치한다. 주와 출처는 표나 그림의 아래에 적는다. 출처는 “자료”라고 쓴 다음 밝힌다. 표와 그림의 양식은 다음과 같다.
▪ 참고문헌 작성 지침

1. 참고문헌 목록은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것으로 제한한다.
2. 참고문헌의 유형은 한국어 문헌, 외국어 문헌, 기타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한국어 문헌은 한국어로 쓰인 저술을 의미하고, 외국어 문헌은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쓰인 저술을 의미한다.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이더라도 외국어로 쓰인 저술은 외국어 문헌에 속한다. 기타는 법률 등 위의 자료 범주에 속하지 않는 자료를 의미한다.
3. 한국어 문헌은 저자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외국어 문헌은 한자(중국어, 일본어 등), 로마자(영어, 불어, 독어 등), 기타어(러시아어, 그리스어, 아랍어 등) 순서로 배치한다.
4.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는 모든 저자들의 이름을 표시해야 한다.
5. 문헌의 저자명이 영문인 경우 성(姓, last name)을 먼저 쓰고 쉼표를 찍는다. 단, 저자가 두 명 이상인 경우 첫 번째 저자명만 이 지침에 따르고, 두 번째 저자명부터는 영문식으로 쓴다.
예) Hunter, Sarah C., Damien W. Riggs and Martha Augoustinos(2017)
6. 동일 저자의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연도 순으로 나열한다.
7. 동일 저자의 저술로서 같은 연도에 출간된 것이 두 편 이상인 경우 제목의 가나다 또는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되, 연도표기 뒤에 a, b, c…를 기재하여 구별하도록 한다.
8. 참고문헌의 필자와 서명, 출판사 등의 사이에는 쉼표를, 맨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다.
9. 참고문헌은 내어 쓰기 24.6pt 한다.
10. 발행연도는 괄호 안에 넣는다.
11. 출판사 소재 도시와 출판사 이름 사이에 쌍점(:)을 찍고 한 칸 띄어 쓴다.
12. 따옴표 다음에 쉼표를 찍는 경우, 닫는 따옴표 뒤에 찍는다.
13. 단행본
- 우리말 서적 이름은 “ 『 』 ” 표 안에 넣는다. 예) 김현미(2021), 『페미니스트 라이프스타일』, 서울: 반비.
- 영문 서적 이름은 문장 부호 없이 이탤릭체로 쓴다.
예)Anderson, Margaret L.(1983), Thinking about Women, New York: Macmillan.
14. 번역서
- 한글 번역서인 경우 저자 이름은 한글로 표기하고, 역자 이름은 도서명 다음에 쓰되 역자 이름 뒤에 괄호 안에 “역” 또는 “편역”이라고 쓴다. 원저는 저자(발행연도), 책이름, 출판사 소재도시: 출판사 순으로 괄호 안에 쓴다. 마침표는 괄호 바깥에 찍는다.
예) 오클리, 앤(1990), 『가사노동의 사회학』, 문숙재(역), 서울: 신광출판(Oakley, Ann(1974), Women's Work, New York: Pantheon).
- 영문 등 외국어 번역서의 경우 번역 제목 뒤에 “tr. by”라고 쓴 뒤 역자 이름을 쓴다. 이 때 역자 이름은 영문식 표기법에 따라 이름과 성의 순서로 쓴다.
16. 단행본에 실린 논문이나 글의 일부를 인용할 때는 인용된 챕터나 페이지를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저자명(출판년도), “챕터 제목”, 편저자 이름(편), 『책 제목』, 출판지역: 출판사, 페이지 순으로 쓴다. 이때 한글 문헌의 경우에는 페이지 숫자 다음에 “쪽”이라고 쓴다. 영문 문헌은 한 페이지면 “p.”로 여러 페이지면 “pp.”로 숫자 앞에 쓴다. 페이지 숫자와 숫자 사이에는 줄표를 넣는다.
예) 권김현영(2017), “근대 전환기 한국의 남성성”, 권김현영(편), 『한국남성을 분석하다』, 서울: 교양인, 67-103쪽. Ahmed, Sara(2009), “The Organization of Hate”, in Harding Jennifer and E. Deidre Pribram(eds.), Emotions: A Cultural Studies Reader, New York: Routledge, pp.251-266.
17. 보고서
- 저자 이름(발행연도), 『보고서 제목』, 출판지역: 발행기관명. 순으로 한다.
예) 김은지ㆍ최인희ㆍ송효진ㆍ배호중ㆍ최진희ㆍ배주현ㆍ성경(2018), 『2018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8. 정부간행물
- 발행기관(발행연도), 『제목』을 쓴다.
예) 여성가족부(2021), 『2021년 성별영향평가지침』.
19. 학위논문
- 저자명(발행연도), 『학위논문 제목』, 학교명 학과명 00학위청구논문 순으로 한다.
예) 정승화(2012), 『자살과 통치성: 한국사회 자살 담론의 계보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학위청구논문.
20. 학술논문
- 한국어 논문의 경우 저자명(발행연도), “논문 제목”, 『학술지명』, 제00권 00호, 00-00쪽. 순으로 쓴다.
예) 김현경(2021), “냉전과 일본군 ‘위안부’: 배봉기의 잊혀진 삶 그리고 주검을 둘러싼 경합”, 『한국여성학』, 제37권 2호, 203-236쪽.
- 로마자(영어, 불어, 독일어 등) 논문의 경우에 저자 성, 저자 이름(발행연도), “논문 제목”, 학술지이름, 권(호), pp.00-00. 순으로 쓴다.
예) Freeman, Carla(2000), “Is Local: Global as Feminine: Masculine? Rethinking the Gender of Globalization”, Signs, 26(4), pp.1007-1037.
21. 학술대회, 토론회 발표문
- 학술대회, 토론회 등에서 발표한 논문은 발표자 이름(발표연도), “발표 제목”, 학술대회를 주최 단체(기관), 『행사명』을 쓰고 발표문이라고 쓴다. 또한 행사 날짜를 명기한다.
예) 이소훈(2021), “세계화 시대 차별에 맞서는 주체에 관한 이해: 트랜스내셔널 여성주의 관점에서”, 한국여성학회·차별금지법제정연대 주최, 『차별금지법과 함께 전진하는 페미니즘』 토론회 발표문(2021.5.8.).
22. 출판 예정 논문 및 서적
- 출판 예정인 논문이나 서적은 출판연도 대신 괄호 안에 “출판 예정”이라고 쓴다.
- 논문이 게재될 학술지나 서적 이름과 출판사 이름을 명기한다.
23. 미간행 논문
- 맨 뒤에 괄호 안에 “미간행”이라고 쓴다.
24. 인터넷 신문기사
- 「신문 이름」, 발행년.월.일., “기사제목”, url (최종검색일 0000년 00월 00일). 로 표기한다.
예) 「일다」, 2016.11.11., “지금이 ‘여성혐오’ 얘기할 시국이냐고?”, https://www.ildaro.com/sub_read.html?uid=7656 (최종검색일 2121년 6월 8일).
25. 홈페이지 등 인터넷 자료
- 홈페이지 이름, 게재년.월.일., “제목”, url (최종검색일 0000년 00월 00일). 로 표기한다.
- 게재년월일을 특정할 수 없으면 생략할 수 있다.
- 게시글의 제목을 특정할 수 없으면 생략할 수 있다.
예) 여성가족부, 2021.7.30., “2021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실사”, 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9527 (최종검색일 2021년 8월 5일).
26. 시청각 자료
- 유튜브 영상: 채널명, 업로드년.월.일., “제목”, url (최종검색일 0000년 00월 00일).
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2.24., “여성 고용정책 방향 토론회”, https://www.youtube.com/watch?v=ux32fVN0hAM (최종검색일 2021년 7월 25일).
- 영화: 감독명, 연도, "제목"[영화], 제작사
예) 드레센, 안드레아, 2008, "우리도 사랑한다"[영화], 아르테(Dresen, Andreas, 2008, "Cloud 9"[Film], Peter Rommel Productions; Rundfunk Berlin-Brandenburg; Senator International).
- 텔레비전 영상: 감독, 연도, "제목"[영상종류], 방송사
예) 민필규, 2017, "시사기획 창, 황혼의 고백, 성"[다큐멘터리], KBS1-TV.
27. 국가통계자료를 활용한 경우
- 기관명(연도), <자료명>, 통계사이트, url (최종검색일 0000년 00월 00일). 로 표기한다.
예) 통계청(2021), <인구동향조사>,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3A31&conn_path=I2 (최종검색일 2021년 6월 21일).
28. 법률을 활용한 경우
- 「법률명」, 국가법령정보센터, url (최종검색일 0000년 00월 00일). 로 표기한다.
예)「형법」,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EB%B2%95%EB%A0%B9/%ED%98%95%EB%B2%95 (최종검색일 2021년 6월 22일).

(2024년 3월 31일 수정)
▪ 연구윤리자료
자료열람하기
- 자료의 발행처 [한국연구재단(연구·집필:이인재)]
- 발행일 [2016. 11. 30.]
- 출처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정보센터 교육자료]
주소: (우: 08787) 서울 관악구 관악로 13길 25, 202호(봉천동, 세종오피스텔) 이메일 kwss21@daum.net 『한국여성학』 ISSN 1226-3117(Print)ㅣ ISSN 2713-6604(Onlin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