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문학학회]봄 정기학술대회 - 한국근현대사와 박완서
한국여성학회 2011-04-18
 

한국근현대사와 박완서

 

주최 : 한국여성문학학회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

일시 및 장소 : 2011430() 오전 930~600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 6층 첨단강의실

기획 및 초대의 말씀

 

한국여성문학학회는 봄 정기학술대회에서 한국 근현대사와 박완서라는 주제로 박완서 선생님을 추모하고 작품세계를 재평가하는 학술대회를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팀과 공동으로 개최하려고 합니다.

 

분단과 냉전의 일상과 풍속을 문학적으로 재현한 박완서는 한국문학사 뿐만 아니라, 한국현대사를 대표하는 작가입니다. 장편소설, 단편소설, 에세이의 구별없이 대중적으로 꾸준한 관심과 사랑을 받았으며, 문학성에서도 대중성에서도, 또 창작초기인 1970년대에도 마지막 작품을 출간한 2000년대에도 열렬한 지지와 찬사를 받았던 작가입니다. 여성의 주체적 내면이 좀처럼 문학의 영역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던 1970년대에 서발턴으로서 여성의 서사를 개척한 바 있습니다. 박완서 문학의 여성서사는 젠더적 의제를 넘어서 식민지/분단/냉전의 지배구조와 주체성의 서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여성학 연구의 첫 장을 열었던 것도 박완서 문학이었으며, 한국전쟁 경험이 현실 정치와 어떤 역학관계 속에서 담론화되었는가를 가장 잘 보여준 역사자료이기도 합니다. 냉전기 사회상과 풍속, 그에 따른 내면의 풍경을 가장 잘 보여주는 리얼리즘 소설이며, 살아있는 듯한 인물성격화와 내면심리, 수다적인 문체 등, 스타일의 측면에서 문학적 탐구 대상이기도 합니다. 박완서 문학은 한국/문학/역사를 포괄하는 학문적 연구대상입니다.

한국여성문학학회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팀은 여성적 정체성을 매개로 한국사회의 다양한 학문적 의제를 충족시키는 박완서 문학을 학제적이면서도 역사적으로 조명하는 것이 지금 가장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박완서 문학이 문학의 영역을 넘어서서 정치, 역사, 사회의 학문적 의제와도 만나는 텍스트임을 확인함으로써, 이제 출발점에 서있는 박완서 문학 연구의 초석이 되도록 학술대회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부디 오셔서 자리를 빛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여성문학학회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인문한국

 

 

 

 

프로그램

 

접수 및 대회 개최 선포(930- 10) ......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 김양선

 

1(10~1230): 한국 근현대문학과 박완서

사회: 이혜령(성균관대)

10:00 ~ 10:20 박완서 문학비평과 담론권력 ...... 이선미(동국대)  

10:20 ~ 10:40 박완서 문학과 여성성 ....... 이선옥(숙명여대)

10:40 ~ 11:00 도시화, 산업화와 박완서 문학 ........ 송은영(연세대)

11:00 ~ 11:20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6.25와 죄의식, 애도의 문제 ...... 이수형(서울대)

 

11:20 ~ 11:40 휴식

 

11:40 ~ 12:30 토론: 김경수(서강대), 권명아(동아대)

 

2(130~410):

한국/근현대/문학/사 연구와 박완서 문학: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사회: 박지영(성균관대)

 

13:30 ~ 14:00 한국문학사에서 박완서의 위상........ 이상경(카이스트)

14:00 ~ 14:30 한 페미니스트 인류학자가 읽은 박완서와 1980-90년대 문단

...... 조한혜정(연세대)

 

14:30 ~ 14:50 휴식

 

14:50 ~ 15:20 한국전쟁, 분단, 냉전의 사회학적 연구와 박완서 문학...... 김동춘(성공회대)

15:20 ~ 15:50 미국의 한국학 연구와 박완서 문학 ...... 최경희 (시카고대)

15:50 ~ 16:10 휴식

 

3(16:10 ~ 18:00): 종합토론

사회: 김양선(한림대)

이상경, 조한혜정, 김동춘, 최경희

황종연(동국대), 이임하(성균관대)

 

학술대회 폐회 선언: 한국여성문학학회 회장 김양선

돌아가기 Back
주소: (우: 08787) 서울 관악구 관악로 13길 25, 202호(봉천동, 세종오피스텔) 이메일 kwss21@daum.net 『한국여성학』 ISSN 1226-3117(Print)ㅣ ISSN 2713-6604(Onlin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