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기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 안내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에서 17기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을 실시합니다.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의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은
-여성주의 관점으로 일상의 성 문화를 되짚어보고
-자신의 성의식을 점검하고 성찰함으로써
여성의 눈, 피해생존자 중심의 상담, 사건 지원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자유롭게 토론하는 교육입니다
★ 교육일정 : 2012년 3월 13일 - 4월 26일 (매주 화, 목요일 오전10시(9시)-오후6시)
* 총 100시간 교육
* 첫 주 이틀간(3/13 화, 3/15 목)은 오전9시-6시까지 진행함.
★ 교육장소 : 민우회 교육장
(시민공간 나루 지하 1층 원경선배움나루터 6호선 망원역 1번출구)
★ 교육내용 : 성폭력 전문상담원교육 (100시간)
여성과 인권, 여성주의 상담, 유형별 성폭력, 성폭력피해의 산부인과적 대응방법,
성폭력 피해 수사과정 및 사법절차, 성폭력 사례 토의, 성폭력 상담실습 등
★ 수료증 이수 가능 대상자 (성폭력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시행령 제7조 관련)
: 다음 중 한 가지에 해당되는 사람.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
(고등교육법 제2조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학교 졸업자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는 사람을 포함한다)
-사회복지사법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회복지시설 및 사회복지단체의 임직원 또는 공무원으로서 성폭력 방지 업무에
3년 이상 근무한 경력 (단순 노무자로 근무한 경력은 제외한다)이 있는 사람.
-장애인 관련 단체 또는 시설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장애인 상담소와 보호시설의 경우만 해당한다)
★ 제출서류 :
자격증 사본(소지자에 한함),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증명판 사진2매(교육 당일에 제출)
★ 교육비 : 35만원 (한국여성민우회 정회원은 10% 할인합니다)
* 입금 계좌 국민은행 543001-01-323280 (예금주 : 한국여성민우회성폭력상담소)
★ 25명 선착순 모집이며 신청서 접수 후 교육비 입금이 확인돼야 신청이 완료됩니다.
★ 100시간 교육 중 90% 이상(90시간)을 이수해야만 수료증이 발급됩니다.
♡수료증 이수 가능 대상자는 관련 법률 시행령에 의해 정해진 것이나,
교육 신청과 참여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 신청 : 신청서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이메일 및 팩스로 접수
fc@womenlink.or.kr 팩스 02-736-5766
♡ 문의 : 02-739-8858 (담당 : 최김하나 활동가)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17기 성폭력전문상담원 교육 내용>
(아래의 일정은 강사의 일정 및 내부 사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점심시간 1-2시
날짜
시간
주제
3/13
9-10
등록 및 오리엔테이션
화
10-1
반폭력(반차별) 감수성 키우기
2-6
여성주의 : 세상을 보는 관점
3/15
9-11
젠더와 섹슈얼리티 : 우리 사회의 성문화
목
11-1
남성 섹슈얼리티
2-4
여성인권운동의 역사와 쟁점
4-6
성매매 현실과 만나기
3/20
10-1
성적 소수자와 성 정체성에 대한 이해
화
2-4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실태와 인권지원체계
4-6
이주 여성 인권 실태
3/22
10-1
10대 섹슈얼리티
목
2-4
반성폭력 운동의 역사와 성폭력 실태 및 쟁점
4-6
유형별 성폭력 1. 장애인 성폭력 현실과 장애여성의 성
3/27
10-1
유형별 성폭력 2. 데이트 성폭력과 성적 의사소통의 중요성
화
2-4
유형별 성폭력 3. 친족 성폭력의 이해와 쉼터 지원 체계
4-6
유형별 성폭력 4. 동성 간 성폭력
3/29
10-1
유형별 성폭력 5. 아동 성폭력 상담 지원
목
2-4
유형별 성폭력 6. 직장 내 성희롱의 이해와 구제 과정
4-6
유형별 성폭력 7. 스토킹 / 사이버 성폭력
4/3
10-1
성폭력 관련 법의 이해
화
2-4
성폭력 피해의 수사 과정
4-6
수사 동행 지원으로 운동하기
4/5
10-1
성폭력 피해자 보호를 중심으로 한 사법절차 등 검토
목
2-4
성 관련 상담을 위한 성 지식 점검 및 대응법
4-6
사례 토론1
4/10
10-1
성폭력 피해의 산부인과적 대응 방법
화
2-4
여성의 몸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쟁점
4-6
성폭력 상담의 지원 체계 : 위기지원 상담을 중심으로
4/12
10-1
법적 성폭력 개념의 한계
목
2-4
성폭력 관련 다큐멘터리 시청
4-6
사례 토론2
4/17
10-1
상담의 원리와 기법
화
2-6
관련 기관 방문
4/19
10-1
여성주의 상담의 역사와 개념
목
2-6
여성주의 상담의 원리와 기법
4/24
10-1
여성주의 자기방어훈련
화
2-4
성폭력 상담 실습 1
4-6
성폭력 상담 실습 2
4/26
10-1
성폭력 상담 실습 3
목
2-5
성폭력 가해자를 말하다
5-6
수료식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