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학회에서는 오는 6월 19일, 특별간담회를 개최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행사명: 특별간담회 <공공부문 성인지교육 현장진단: “젠더의 작동”을 읽어내고 변화시킬 수 있을까?>
□ 일시: 2021년 6월 19일 (토) 13:00 ~ 15:00
□ 장소: 줌 화상회의
https://us02web.zoom.us/j/6249758551?pwd=VE5scXB2WU9leEx4VXRRMnJMbWt0QT09
회의 ID: 624 975 8551
암호: 123
□ 주최: 한국여성학회
□ 내용
-
한국여성학회(회장 이혜숙(경상국립대 사회학))는 2021년 6월 19일(토) 줌 화상회의로 특별간담회 <공공부문 성인지교육 현장진단: “젠더의 작동”을 읽어내고 변화시킬 수 있을까?> 를 개최한다.
-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우리를 초현실(hyper-reality)과 초연결(hyper-connectedness) 사회로 이끌었다. 인터넷에 수시로 접속하는 우리에게 물리적 거리는 만남을 방해하지 않으며 이미지는 현실보다 더 강력한 영향력을 미친다. 그러나 자유로운 만남의 기쁨을 만끽하기도 전에 우리는 수많은 혐오발언에 마주해야 했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장애인, 노약자, 이주민뿐 아니라 여성 및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가 노골화되어 나타났으며 비동의 불법촬영물에 의한 디지털 여성 착취라는 신종 범죄가 확산되었던 것이다. 이에 사이버 공간의 혐오 정치에 대한 대응하면서 부상한 페미니스트들은 무엇보다 디지털 시대에 부응하는 성(평등) 교육이 사회 전반에 걸쳐 대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이에 2018년부터는 공공부문에서의 성인지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공무원뿐 아니라 학생들은 모두 의무적으로 성인지 교육을 받도록 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갈 길은 멀다. 2018년에는 약물 강간을 핵심으로 하는 버닝썬 사건이, 2019년에는 미성년 여성까지도 착취했던 N번방 사건이 터졌다.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성평등 교육에 대한 반발이었다. 2020년에는 ‘나다움’ 어린이 성(평등)교육 교재가 ‘음란’하다는 이유로 또는 ‘동성애’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반대에 부딪혀 회수되기도 했다. 성인지 교육사들은 현장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의 외면과 반발에 당면하기도 했다. 이는 학생 뿐 아니라 학부모와 교육자 그리고 공공부문 종사자들에게도 성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는 성(평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부족함을 보여준다.
-
이런 상황에서 자격도 전문지식도 갖추지 못한 유튜버나 인플루엔서의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들이 펼치는 혐오의 정치는 버젓이 자유 또는 권리의 이름으로 추동되고 있기도 하다. 종교와 표현의 자유를 내세워 성적 다양성을 부정하고 개인의 권리를 강조하면서 여성혐오를 일삼기도 한다. 성인지 감수성의 격차 속에서 이들은 원하는 정보만을 편식한 네티즌들은 페미니즘 지식을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이에 이번 특별간담회에서는 공공부문 성인지 교육 현장을 비판적으로 진단하는 가운데 디지털 기반의 혐오정치에 대응하는 성평등 교육을 체계적이고 전면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1998년 대통령 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설치와 함께 성 주류화를 도입한지 20년이 지났고, 관련 인프라를 만들고 확대하면서 시행되고 있다. 성인지 교육 역시 성 주류화의 주된 수단으로 2003년 성인지 교육 전담 기관(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이 설립되었고 2007년부터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업무 성과를 평가하는 정부합동평가지표에 ‘공무원 성 인지 정책교육 이수율’이 포함되면서 교육은 양적으로 확대되었다. 2018년 성인지 교육은 공공부문에서는 ‘의무교육’이 되었고, 최근에는 학교까지 포괄하는 성인지교육진흥법 제정도 시도되고 있다.
-
하지만 공공부문에서 성인지 교육의 확대는 젠더 이슈에 관한 개인의 경험, 태도에 대한 분석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가? 나아가 기존의 젠더체계를 반복하는 행정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는가? 공공부문이 조성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이 오히려 시민들을 젠더 규범에 순응하도록 만드는 것은 아닌가? 이에 이번 특별간담회에서는 공공부문 성인지 교육의 목표를 페미니즘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나아가 젠더의 고정성(genderedness)을 유연화할 수 있는 정책과 전략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고민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