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여성학센터] 우리들의 목소리 2 단행본 출간 안내
한국여성학회 2016-01-13
<EGEP BOOK 시리즈>

우리들의 목소리 2
: 아시아 페미니즘과 여성 운동의 현장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기획, 장필화 ? 이명선 엮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016. 1. 7 | 신국판 | 208
16,000| ISBN 979-11-8590-140-0 94330
979-11-85909-13-4(세트)

 
 
책 소개
 
이 책은 우리들의 목소리 1: 아시아 페미니즘과 여성 운동의 현장에 이은 두 번째 책이다. 2014년에서 2015년 사이 이화글로벌임파워먼트프로그램(Ewha Global Empowerment Program, EGEP) 5기부터 7기까지 참가했던 아시아 여성 운동 활동가들의 이야기들 가운데 몇 편을 모아 우리말로 담아냈다. 다양한 국가와 민족 배경을 가진 젊은 여성 활동가들이 참여하는 이화글로벌임파워먼트프로그램(EGEP)은 여성주의 교육의 가장 생생한 현장이다. 여기서 활동가들은 아시아 여성들이 당면하고 있는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여성 문제들을 함께 논의하고, 이러한 문제들이 각자 개별적인 이슈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서로 연결된 문제임을 인식하며 함께 초국적 연대를 도모한다.

이번 책에서는 인도, 중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에서 온 9개국 여성 활동가들이 쓴 11편의 글을 실었다. 1권에서 가부장제와 섹슈얼리티’, ‘여성 인권과 노동’, ‘재난과 여성 임파워먼트’, ‘대안 페미니즘 운동4가지 주제를 다뤘다면, 이번 2권에서는 이름 없는 폭력, ‘분쟁과 정의’, ‘변화를 위한 연대의 세 가지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변화를 위한 연대의 경우 서로 다른 국가 배경을 가진 EGEP 졸업생들이 공동 작업을 통해 생산한 글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차례
 
책을 펴내며
 
5부 이름 없는 폭력

1. 이름을 말할 수 없는 사랑: 인도 동성애·양성애 여성과 성전환 남성의 주변적 지위 _ 수타누카 바타차리야
2. 레즈비언 눈으로 본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_ 웨이팅팅
3. 친밀한 관계에서의 여성에 대한 폭력: 말레이시아의 사례 _ 텡구 누어 파질라 텡구 하산, 시티 하와 알리, 하림 살레
4. 캄보디아 젠더 카페 프로젝트: 변화를 위한 여성 내면의 힘 키우기 _ 로트바테이 소반

6부 분쟁과 정의

5. 스리랑카 의류공장 여성 노동자를 위한 심리 상담 _ 비달샤니 나디샤 페레라-데실바
6. 막다른 그곳, 인도네시아 야자유 플랜테이션 _ 레나타 산디 리브라서란
7. 무력 분쟁과 여성의 행위주체성: 파키스탄 스와트 사례 _ 레하나 와가
8.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우즈베키스탄 여성들 _ 디로롬콘 쇼디에바, 나데이다 박히토바, 리리야 아바조바

7부 변화를 위한 연대

9. 인도네시아 여성들의 땅 지키기: 렘방 시멘트 공장 반대 운동 _ 디안 레스타리닝시, 와리야툰
10. 정의를 추구하는 인도와 방글라데시 달리트 여성 _ 자야 시리바스타바, 랑가비 탄창야
11. 쓰나미와 여성: 스리랑카와 인도네시아 아체 주의 재난 후 변화 과정 _ 르와니 레누카, 에카 스리뮬라니


 
You are currently subscribed.
To unsubscribe click here.
Asian Center for Women\'s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http://home.ewha.ac.kr/~acws/eng/
돌아가기 Back
주소: (우: 08787) 서울 관악구 관악로 13길 25, 202호(봉천동, 세종오피스텔) 이메일 kwss21@daum.net 『한국여성학』 ISSN 1226-3117(Print)ㅣ ISSN 2713-6604(Onlin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