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철학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동장군이 한반도를 강타하고 있는, 겨울 한 가운데에 있습니다.
병신년 원숭이해에 여러분의 가정과 일 모두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합니다.
동계 워크숍의 밑그림이 그려졌습니다.
지난 12월 월례회때 연구위원회 회의를 거쳐
동계워크숍 주제는 <여성과 가족>으로 수렴되었습니다.
이 주제에서 특정 논문들은 전공자 선생님을 섭외하여 발제를 부탁드렸고
다른 몇편의 논문들은 지원자를 받는 것으로 공지하였습니다.
주제: 여성과 가족
일시: 2016년 2월 1일(월) 10:30 ~ 16:00 (점심제공)
2일(화) 12:00 ~ 18:00 (점심제공)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관 102호
동계워크숍 발제 자료는 PDF 파일로 제공됩니다. 동계워크숍 참가를 원하시는 회원께서는
이메일(kafph@daum.net)로 참가신청을 해주시면 자료 PDF 파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번역본 저서 발제 자료는 제공하지 않으니 서지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각 논문에 대한 발제 및 토론 시간은 약 50분이며, 발제를 맡아주신 선생님들께서는 20~30분 가량의 발제문을 준비해 주시고,
특히 여성철학적 논제와 토론거리를 제안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발제문은 해당 세미나 전날에 총무간사에게 이메일 (kafph@daum.net)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한국여성철학회 올림
다음과 같이 논문과 논문 발제자들이 확정되었습니다.
첫째 날 (2월 1일)
1, Plato: Republic (Book V) / Aristotle: \"On the Generation of Animals\", \"Politics\" ( 장영란)
2. John Locke: \"Of Paternal Power\"/ \"Of Political and Civil Society\"
David Hume: \"Of Love and Marriage\"/\"Of Polygamy and Divorce\"/ \"Of Chastity
and Modesty\" Locke/Hume (이재춘)
3. Jean-Jacques Rousseau: \"Marriage\"
Immanuel Kant: \"Of the Distinction of the Beautiful and Sublime in the
Interrelations of the Two Sexes\" (도승연)
4. G.W. F. Hegel: 『법철학』 (인륜성장 가족 부분) (이정은)
5. Privacy, Self-Knowledge, and Pluralistic Communes: An Invitation to the Epistemology of Family (이선형)
6. Psychocultural Dynamics with the Confucian Family (김세서리아)
둘째 날 (2월 2일)
Families and Feminist Theory: Some Past and Present Issues (이혜정)
Family: Beyond Justice? (강지연)
Justice as Fairness: For Whom? (이미경)
자끄 라깡: 『세미나 7』에서의 안티고네 분석-안티고네와 실재의 윤리 (윤지영)
뤼스 이리가레: Speculum de l’autre femme의 일부 (황주영)
주디스 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삶과 죽음, 그 사이에 있는 친족관계』 (조주영)
캐롤 페이트만: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현재)
더 자세한 일정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