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션 1. 공간주권과 여성주의 공간 생산 (부산대 여성연구소 춘계학술대회 세션)
‧ 젠더와 공간의 생산- 여성청소노동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_ 안숙영(SSK 공간주권연구팀)
‧ 학교공간에서의 학(부)모 권리와 여성주의 실천 가능성-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위원 활동을 중심으로
_ 하정화(부산여성가족개발원)
‧ 10대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공간의 정치-십대의 욕망(공간)과 피해(공간) 사이에서
_ 변혜정(충북 여성정책관)
▢ 세션 2. 페미니즘의 경계적 담론
‧ 과학적 지식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행위자 실재론
_ 송호림(부경대 영어영문학과)
‧ 입양인 디아스포라와 생모의 서사
_ 황은덕(부산대 교양교육원)
‧ 성, 사랑, 폭력- 헨리 라이더 해거드의 <그녀> 고딕성 연구
_ 이혜진(동의대 교양교육원)
▢ 세션 3. 모성과 임신/출산의 의미구성 : '자연'과 의료 사이에서
‧ 아토피 자녀를 둔 여성에 대한 어머니 비난과 젠더 정치
_ 김향수(시민건강증진연구소)
‧ 조산원 출산 여성의 ‘자연출산’ 의미
_ 이은주(서울대 간호대학)
‧ 불임 클리닉에서 구성되는 ‘자연임신’의 범주와 그 효과
_ 강지연(서울대 인류학과)
▢ 세션 4. 유동하는 몸과 젠더화된 감정
‧ 결혼이주여성의 선별적 편입과 배제 그리고 유교적 공존의 탐색
_ 임경희(계명대 사회학과)
‧ 영상분석법을 통한 표정 변화의 정량적 분석- 기쁨 표정 변화의 성차를 중심으로
_ 변인경(주성대 작업치료과)
‧ Post feminist Sensibility and Cosmetic Surgery
_ 김종미(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oventry, UK)
▢ 세션 5. 대학원 세션: Martha Minow의 '공공성'과 한국사회
‧ 공공성으로서의 성폭력상담활동: 정부 인센티브 지원과 관련하여
_ 이재희(부산대 여성학협동과정)
‧ 민간단체 공적자금지원 사례를 통해 본 공공성 혹은 공공의 적
_ 구수경(부산대 여성학협동과정)
‧ 소수자 인정과 다양성의 가치- 서울시 동성애 광고 허용을 보며
_ 김이오(부산대 여성학협동과정)
▢ 세션 6. 지역 여성정책의 쟁점과 이슈
‧ 여성친화도시, 부산지역에의 적용
_ 주경미(부산여성가족개발원)
‧ 부산지역 성인지 예산제도의 도입과 적용
_ 홍미영(부산여성가족개발원)
‧ 부산지역 여성정책의 변화와 조명
_ 박금식(부산여성가족개발원)
▢ 세션 7. 라운드테이블: 현실적 유토피아들에 대한 상상과 여성주의 정책방향 모색
‧ 총론- 여성정책의 비판적 패러다임 모색
_ 이재경(이화여대 여성학과)
_ 김경희(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여성고용정책의 월스톤크래프트(Wollstonecraft) 딜레마- 평등한 노동권을 위한 고용과
복지의 재구조화
_ 이주희(이화여대 사회학과)
‧ 가족의 현대성과 가족정책: 평가와 과제
_ 김혜영(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 한국의 연금과 젠더 정의: 평가와 과제
_ 석재은(한림대 사회복지학과)
▢세션 8. 남성적 공간과 젠더 수행
‧ 한국 남자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차별 의식- 미필자와 군필자 비교를 중심
_ 심미혜(일본 간사이대 심리학연구과)
‧ 초남성 공간에서의 여군의 젠더수행 전략
_ 김엘리(이화여대 아시아여성학센터)
‧ 페미니즘 문학비평을 통해 본 서구의 성담론과 독일 남성문인 귄터 그라스
_ 장순란(서강대 독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