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춘계학술대회 자료 (24대)
한국여성학회 2025-03-13
2008년 한국여성학회 제24차 춘계학술대회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계층·세대의 정치학
 
 
 
10:00-10:30 등록 및 개회사
 
 
제1분과 페미니즘의 윤리
 
10:30-12:30 사회: 최현무(서강대 프랑스문화학)
1. 신자유주의 시대, 자기다움과 사랑의 정치로서의 페미니즘
발표: 오정진(부산대 법학)
토론: 이현재(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2. 여성주의 윤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교여성(전통여성)의 도덕성에 관한 논의
발표: 강혜경(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토론: 이숙인(한국학중앙연구원)
 
제2분과 국가의 법질서와 여성정책
10:30-12:30 사회: 정진성(서울대 사회학)
1. 사회정의론에 근거한 사회통합의 세 모델과 여성정책의 세 가지 방향성 비교 및 비판
발표: 홍찬숙(서울대 여성연구소)
토론: 허라금(이화여대 여성학)
2. 헌법상 여성관련조항의 개정방향
발표: 박선영(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토론: 장명선(서울시 여성가족재단)
3. 외환위기 이후 한국여성빈곤의 실태와 탈빈곤 정책
발표: 김안나(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토론: 성은미(중앙대 사회복지학)
 
제3분과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의 재현
10:30-12:30 사 회: 유선영(한국언론재단)
1. 한국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의 노출 투쟁
발표: 김주희(고려대 경영대학원 노사관계), 임인숙(고려대 사회학)
토론: 김예란(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2. 홍대 여성 클러버의 새로운 하이퍼 섹슈얼리티 재현
발표: 조장은(명지대 여성학)
토론: 김은실(이화여대 여성학)
 
특별분과
연대위원회 특별심포지움
새 정부하의 여성정책와 여성운동Ⅱ : 페모크라트의 경험을 중심으로
13:45-15:45 사회: 김현미(연세대 문화인류학)
발표:
1. 국가페모크라트 : 첩자인가 배신자인가
조현옥(이화여대 정책과학대학원)
2. 페모크라트의 경험 : 행정과 정치 영역에서 비주류로 일하기
신현옥(숙명여대 아태여성정보통신원)
3. 여성주의적 정책 실행에 있어서 페모크라트의 역할과 차이
조정아(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소장)
토론:
민경자(전 충청북도 여성정책관)
박기남(전북대 사회과학연구소)
김경미(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이숙진(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제4분과 젠더와 교육
 
13:45-15:45 사회: 정영애(서울사이버대학 노인복지학)
1. 일본사회의 남녀평등교육과 backlash에 관한연구
발표: 석향(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토론: 변혜정(서강대 양성평등성상담실)
2. 여성인력개발기관의 맞춤형교육프로그램 활성화방안 연구
발표: 문은영(서울시 여성가족재단)
토론: 이명선(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3. 여교수의 대학 내 보직참여확대를 위한 남녀교수 의식 조사연구
발표: 장하경(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
토론: 신경아(한림대 사회학)
 
제5분과 복지개혁과 여성
13:45-15:45 사회: 이혜경(연세대 사회복지학)
1. 여성의 사회권 관점에 의한 한국 연금개혁논쟁의 재구성
발표: 김수완(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
토론: 석재은(한림대 사회복지학)
2. 성, 계층, 가족의 다양성에 기초한 ‘가족’간병휴가제도
발표: 장수정(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
토론: 윤홍식(인하대 사회과학부)
3. 아동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발표: 홍승아(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토론: 최진(유아정책개발센터)
제6분과 글로컬 여성운동과 거버넌스
13:45-15:45 사회 : 손승영(동덕여대 여성학)
1. 지역발전정책에서의 성 주류화: 안성시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발표: 김경희(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토론: 김정희(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성격: 경남여성단체연합을 중심으로
발표: 이혜숙(경상대학교 사회학)
토론: 유경희(한국여성민우회 대표)
3. 아시아의 대안적 여성경제: 국제기구와 NGO의 활동과 성과를 중심으로
발표: 최현실(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토론: 허성우(성공회대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연구소)
15:45-16:00 휴식
 
제7분과 탈빈곤의 전망과 일-가족
16:00-18:00 사회: 이재경(이화여대 여성학)
1. 유배우 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시간경험을 통한 일·가족의 변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발표: 조주은(서울시립대 여성학)
토론: 김은지(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2. 신자유주의 시대 신빈곤층 십대 여성의 주체에 관한 연구: 젠더와 계급의 상호성을 중심으로
발표: 민가영(이화여대 여성학)
토론: 배은경(서울대 여성학협동과정)
3. 이명박 정부의 여성정책: 일자리 창출에서의 여성의 의미
발표: 김영미(상명대 행정학)
토론: 이재인(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제8분과 횡단하는 페미니즘
16:00-18:00 사회: 태혜숙(대구가톨릭대 영문학)
1. 신자유주의 국가와 국가 페미니즘의 도전: 발전국가의 변형과 젠더 정치의 변화를 중심으로
발표: 이진옥(서강대 여/성과 정치)
토론: 문현아(여성이론연구소)
2.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읽기: 기지촌 성매매 여성과 성별화된 민족주의, 재현의 정치학
발표: 이나영(중앙대 사회학)
토론: 고정갑희(한신대 영문학)
3. 트랜스내셔널 시대를 횡단하는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
발표: 사카모토 치즈코(연세대 사회학)
토론: 서지영(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대학원분과 (문과대 316B)
16:00-18:00
1. 칙릿과 칙빈: 2,30대 고학력 비혼 직장 여성들의 문화정치학
발표: 모현주(연세대 사회학 석사)
토론: 황정미(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가리봉동 ‘중국거리’에서의 조선족 여성의 위치성에 대한 문화, 지리적 연구
발표: 이미애(중앙대 문화연구 석사과정)
토론: 이해응(이화여대 여성학)
3. 한국 사회학 개론서의 젠더 불평등 논의 수준과 지형의 변화
발표: 강충구, 박민정, 송한나(고려대 사회학 석사과정)
토론: 강인순(경남대 심리사회학부)
 
돌아가기 Back
주소: (우: 08787) 서울 관악구 관악로 13길 25, 202호(봉천동, 세종오피스텔) 이메일 kwss21@daum.net 『한국여성학』 ISSN 1226-3117(Print)ㅣ ISSN 2713-6604(Onlin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