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0호 2008.7 ++ 한국여성학회 소식 ++
Newsletter,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발행인 : 조혜정 / 편집인 : 이나영
주소: 우) 120-749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 연세대학교 위당관 103호 한국여성학회
전화 : (02) 2123-3572 팩스 : (02) 362-4895
.............................................................................................................................................
한국여성학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24대 부회장을 맡고 있는 손승영 입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여성정책이 후퇴하고 있다는 비판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한국여성학회에서는 여성정책의 방향을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3월부터 특별 심포지엄을 시작했습니다. 6월에는 구체적으로 페모크라트의 경험을 중심으로 거버넌스 체계에 대해 검토하고 여성주의자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올해는 또한 3년마다 개최되는 세계여성학대회가 열린 뜻 깊은 해입니다. 서울에서 개최된 제9차 세계여성학대회에서는 ‘경계를 넘어서’란 주제로 지구화시대에 양성평등 실천을 위한 리더십 강화와 기반 구축이 강조된 한편, 제10차 마드리드 대회에서는 ‘평등은 유토피아가 아니다’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내세우고 양성평등 이념의 실천가능성을 점검하는 학회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수 십 명의 우리나라 여성학자들이 마드리드 대회에 참여해서 새로운 여성주의 학문공동체 형성에 일조를 가하였습니다.
이제 남은 중요한 과제는 어떠한 방식으로 지구지역시대에 걸맞은 한국 여성학의 정체성을 확립할 것인가 하는 점입니다. 양성평등에 기초한 젠더 질서의 재편성과 사회정책의 구축이 우리나라에서도 결코 유토피아가 아님을 보여줄 수 있는 방식을 체계적으로 찾아나가야 할 것입니다. 여성정책의 새 패러다임에 대해 논의하고 ‘희망의 여성학’ 서곡이 울려 퍼질 추계 학술대회를 벌써부터 기대하게 됩니다.
제24대 한국여성학회 부회장
손승영 드림
.............................................................................................................................................
활동보고
◈ 운영위원회
1. 제24대 3차 운영위원회가 2008년 6월 14일(토) 오전 9시에 고려대학교에서 열렸습니다. 이날 열린 운영위원회에서는 각 위원회 활동보고와 이사회 안건, 하반기 활동방향을 논의하였습니다.
◈ 총무위원회
1. 한국여성학회 홈페이지를 개편하여 5월 초에 오픈하였습니다. 신간서적 발간, 승진 및 이동과 관련된 공지할 사항이나 회원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소식을 학회메일(kwss21@hanmail.net)로 알려주시면 홈페이지에 수시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2. 『한국여성학』 제24권 2호가 2008년 7월 초에 연회비를 납부하신 회원들에게 발송되었습니다. 학회지를 받아보실 주소지가 변경 되었거나, 연회비를 납부하였음에도 학회지를 못 받아보신 회원분들께서는 학회메일(kwss21@hanmail.net)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3. 현재까지 2008년도 연회비 납부 회원을 알려드립니다. 연회비를 납부해주신 회원분들에게는 학회지 『한국여성학』을 발송해 드리고 있습니다. 회비를 납부하셨음에도 아래에 명단에서 누락되었거나 납입 영수증이 필요하신 분들은 담당간사에게 이메일이나 전화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연락 바랍니다. 아직 납부하시지 않은 회원께서는 납부 부탁드립니다. 동명이인 확인을 위하여, 입금 시 성함과 소속을 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연회비는 전임 정회원 5만원, 비전임 정회원 4만원, 준회원(석사과정생) 3만원, 이사 10만원, 평생회원 70만원입니다.
연회비 보내실 곳 : 우체국 013870-01-003884 예금주 한국여성학회
이메일: kwss21@hanmail.net / 전화: 02-2123-3572
담당간사: 최한은주 (011-9006-8397)
평생회비 납부회원
공미혜, 구자순, 김명혜, 김민정, 김성례, 김안근, 김영화, 김외숙, 김은실, 니시무라 히로미, 박미석, 박혜인, 배은경, 변인경, 변혜정, 손승영, 신성자, 신은영, 심영희, 안진, 오재림, 유철인, 윤정로, 윤형숙, 이소희, 이재경, 장미경, 정영애, 정지영, 조무석, 조옥라, 조주현, 조혜정, 허라금(이상 35명)
정회비 납부회원
강선주(신입), 강헤경, 고재정, 권귀숙, 김미숙, 김부자(신입), 김소영(신입), 김언순(신입), 김엘리(신입), 김영미, 김은경(신입), 김은정(신입), 김은희, 김창연, 김호수(신입), 김향선, 김희진, 김현미, 김형준, 남인숙, 노승희, 마경희, 문옥표, 문은영(신입), 문현아, 민경자, 민경희, 박소진, 박성희, 박영란, 박옥주, 박유하(신입), 박종선, 박주, 박해숙, 백영경, 서명선, 석민화, 석향(신입), 성미애, 신경림, 신경숙, 신상숙, 신선미(신입), 신영숙, 안미수(신입), 안수영(신입), 안태윤, 엄익란, 오정진, 오화영, 원숙연, 윤택림, 윤혜린, 이나영, 이명화, 이미경, 이미애(신입), 이선민(신입), 이지연, 이은아, 이인숙, 이재인, 이지연, 이현희(신입), 이현재, 이희영(신입), 장경문, 장명선, 장서영, 장수정(신입), 장현정, 장흔성(신입), 전기택, 정윤지, 조성숙, 조주은, 차인순, 최윤진, 하정옥, 하혜숙(신입), 한승미, 허미영, 허성우, 홍미희, 홍찬숙(이상 94명)
이사회비 납부회원
강인순, 김미경, 김양희, 김엘림, 김영화, 민경희, 백진아, 손승영, 오재림, 윤정로, 이영자, 정영애, 조은, 조주현(이상 15명)
단체회비 납부회원
가톨릭대 성심리 상담소, 강원대 중앙도서관, 서강대 양성평등 상담소, 동국대학교 도서관, 동양공전 도서관, 숙명여대 도서관, 숙명여대아시아 여성연구소, 성공회대 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북여성인권지원센터, 한양대 학생처 양성평등센터, 부산외대, 대전대학교 도서관, 서울대 도서관, 협성대학교 (이상 15개)
◈ 연구위원회
1. 2008년 춘계학술대회가 지난 6월 14일(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 계층, 세대의 정치학」을 주제로 고려대학교에서 개최 되었습니다. 8개의 주제 분과, 대학원분과, 특별 분과로 총10개의 분과가 열려 진행되었고, 분과 발표 이후 리셉션까지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 주셨습니다. 이번 행사는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BK21 갈등사회교육연구단과 함께 주관하였고,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에서 후원해 주셨습니다. 자세한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0-10:30 등록 및 개회사
제1분과:페미니즘의 윤리 (문과대 314A)
10:30-12:30 사회: 최현무(서강대 프랑스문화학)
1. 신자유주의 시대, 자기다움과 사랑의 정치로서의 페미니즘
발표: 오정진(부산대 법학)
토론: 이현재(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2. 여성주의 윤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교여성(전통여성)의 도덕성에 관한 논의
발표: 강혜경(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토론: 이숙인(한국학중앙연구원)
제2분과:국가의 법질서와 여성정책 (문과대 314B)
10:30-12:30 사회: 정진성(서울대 사회학)
1. 사회정의론에 근거한 사회통합의 세 모델과 여성정책의 세 가지 방향성 비교 및 비판
발표: 홍찬숙(서울대 여성연구소)
토론: 허라금(이화여대 여성학)
2. 헌법상 여성관련조항의 개정방향
발표: 박선영(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토론: 장명선(서울시 여성가족재단)
3. 외환위기 이후 한국여성빈곤의 실태와 탈빈곤 정책
발표: 김안나(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토론: 성은미(중앙대 사회복지학)
제3분과: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의 재현 (문과대 316B)
10:30-12:30 사회: 유선영(한국언론재단)
1. 한국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의 노출 투쟁
발표: 김주희(고려대 경영대학원 노사관계), 임인숙(고려대 사회학)
토론: 김예란(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2. 홍대 여성 클러버의 새로운 하이퍼 섹슈얼리티 재현
발표: 조장은(명지대 여성학)
토론: 김은실(이화여대 여성학)
12:30-13:45 점심식사 및 이사회 (점식식사-국제관 구내식당/이사회-문과대 317)
특별분과:새 정부하의 여성정책과 여성운동Ⅱ-페모크라트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과대 315)
13:45-15:45 사회: 김현미(연세대 문화인류학)
발표:
1. 국가페모크라트, 첩자인가 배신자인
조현옥(이화여대 정책과학대학원
2. 행정과 정치 영역에서 비주류로 일하기
신현옥(숙명여대 아태여성정보통신원)
3. 여성주의적 정책 실행에 있어서 페모크라트의 차이와 역할
조정아(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소장)
토론:
민경자(전 충청북도 여성정책관)
박기남(전북대 사회과학연구소)
김경미(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이숙진(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제4분과:젠더와 교육 (문과대 314A)
13:45-15:45 사회: 정영애(서울사이버대학 노인복지학)
1. 일본사회의 남녀평등교육과 backlash에 관한연구
발표: 석향(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토론: 변혜정(서강대 양성평등성상담실)
2. 여성인력개발기관의 맞춤형교육프로그램 활성화방안 연구
발표: 문은영(서울시 여성가족재단)
토론: 이명선(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3. 여교수의 대학 내 보직참여확대를 위한 남녀교수 의식 조사연구
발표: 장하경(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
토론: 신경아(한림대 사회학)
제5분과:복지개혁과 여성 (문과대 314B)
13:45-15:45 사회: 이혜경(연세대 사회복지학)
1. 여성의 사회권 관점에 의한 한국 연금개혁논쟁의 재구성
발표: 김수완(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
토론: 석재은(한림대 사회복지학)
2. 성, 계층, 가족의 다양성에 기초한 ‘가족’간병휴가제도
발표: 장수정(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
토론: 윤홍식(인하대 사회과학부)
3. 아동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발표: 홍승아(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토론: 최진(유아정책개발센터)
제6분과:글로컬 여성운동과 거버넌스 (문과대 316B)
13:45-15:45 사회 : 손승영(동덕여대 여성학)
1. 지역발전정책에서의 성 주류화: 안성의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발표: 김경희(한국여성정책연구원)
토론: 김정희(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성격: 경남여성단체연합을 중심으로
발표: 이혜숙(경상대학교 사회학)
토론: 유경희(한국여성민우회 대표)
3. 아시아의 대안적 여성경제: 국제기구와 NGO의 활동과 성과를 중심으로
발표: 최현실(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토론: 허성우(성공회대 민주주의와 사회운동연구소)
15:45-16:00 휴식
제7분과:탈빈곤의 전망과 일-가족 (문과대 314A)
16:00-18:00 사회: 이재경(이화여대 여성학)
1. 유배우 정규직 여성노동자의 시간경험을 통한 일?가족의 변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발표: 조주은(서울시립대 여성학)
토론: 김은지(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2. 신자유주의 시대 신빈곤층 십대 여성의 주체에 관한 연구: 젠더와 계급의 상호성을 중심으로
발표: 민가영(이화여대 여성학)
토론: 배은경(서울대 여성학협동과정)
3. 이명박 정부의 여성정책: 일자리 창출에서의 여성의 의미
발표: 김영미(상명대 행정학)
토론: 이재인(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제8분과:횡단하는 페미니즘 (문과대 314B)
16:00-18:00 사회: 태혜숙(대구가톨릭대 영문학)
1. 신자유주의 시대 국가 페미니즘의 갈 곳은? 발전국가의 변형과 젠더 정치학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발표: 이진옥(서강대 여/성과 정치)
토론: 문현아(여성이론연구소)
2.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읽기: 기지촌 성매매 여성과 성별화된 민족주의, 재현의 정치학
발표: 이나영(중앙대 사회학)
토론: 고정갑희(한신대 영문학)
3. 트랜스내셔널 시대를 횡단하는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
발표: 사카모토 치즈코(연세대 사회학)
토론: 서지영(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대학원분과 (문과대 315B)
16:00-18:00
1. 칙릿과 칙빈: 신자유주의 시대 2,30대 비혼 여성들의 정치학과 삶의 모색
발표: 모현주(연세대 사회학 석사)
토론: 황정미(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가리봉동 중국거리에서의 조선족 여성의 ‘위치성’에 대한 문화, 지리적 연구
발표: 이미애(중앙대 문화연구 석사과정)
토론: 이해응(이화여대 여성학)
3. 한국 사회학 개론서의 젠더 불평등 논의 수준과 지형의 변화
발표: 강충구, 박민정, 송한나(고려대 사회학 석사과정)
토론: 강인순(경남대 심리사회학부)
2. 9월 월례심포지엄은 비판사회학회와 중앙대 사회학과 BK21 사업단과 ‘신자유주의 시대, 노동, 생명, 촛불정치’라는 주제로 공동 개최하기로 하였습니다.
일시: 2008년 9월 26일(금), 오후 1시-6시
장소: 중앙대학교 법학관 대강당
주최: 한국여성학회 & 비판사회학회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BK21 핵심사업팀, 중앙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I부_ 시장자유주의와 노동의 불안 (오후 1시 30분-3시 30분)
사회: 신광영(중앙대 사회학)
발표
1. 경남지역 비정규직 여성노동자 가족생활
강인순(경남대 사회학)
2. 서비스사회가 일자리 질에 끼치는 영향
은수미(노동연구원)
3. 노동계급의 형성, 변형 그리고 해체: 풍요로운 노동자 vs. 빈곤한 노동자
이종래(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토론
신경아(한림대 사회학)
임운택(계명대 사회학)
휴식(오후 3시 30분-4시)
Ⅱ부_ 포스트-촛불: 정치적인 것의 귀환 (오후 4시-6시)
사회: 이은진(경남대 사회학)
발표
1. 촛불시위와 민영화
신진욱(중앙대 사회학)
2. 세계화, 국민국가, 생명정치
김은실(이화여대 여성학)
3. 공포와 불안의 연대, 촛불집회 그리고 정치 패러다임의 변화
정태석(전북대 사회교육학부)
토론
서동진(계원조형예술대)
김현미(연세대 문화인류학)
◈ 편집위원회
1. 『한국여성학』24권 2호가 6월 30일에 발간되었고, 3호 원고는 7월 18일에 마감되어 9월 말에 발간예정입니다.
2. 『한국여성학』24권 4호에 실을 원고를 모집합니다. 게재를 희망하는 회원께서는 원고 모집 마감일인 9월 30일까지 원고 1부를 출력하여 아래의 주소지로 제출하고, 1부는 한글 파일(hwp)로 저장하여 아래의 이메일 주소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소정의 심사비(4만원)를 아래 은행 계좌번호로 송금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여성학』은 학회 정회원에 한하여 논문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과 관련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원고 보내실 곳 : (우) 120-750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대학
여성학과 교수 김은실 (앞)
이메일: eunshil@ewha.ac.kr, fatapple20@naver.com
심사료 보내실 곳: 신한은행 110-232-659900, 예금주: 김은실
3. 한국여성학회 학회지 투고와 관련된 문의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대위원회
1. 연대위원회는 지난 3월 22일(토) 동덕여자대학교에서 개최하였던 “새 정부하의 여성정책과 여성운동(1)” 특별 심포지엄에 이어 이번 춘계학술대회 특별 분과에서 “새 정부하의 여성정책과 여성운동Ⅱ : 페모크라트의 경험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특별 심포지엄을 개최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 위 연구위원회 보고 참조)
.............................................................................................................................................
◈ 회원동정
▶ 야마시다 영애 선생님께서 지난 7월 달에 일본에서 『ナショナリズムの?間から?「慰安婦」問題へのもう一つの視座』을 출간하였습니다.
▶ 연구위원이신 이재인 선생님께서 2008년 5월부터 서울대 여성연구소 책임연구원에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전문위원으로 자리를 옮기셨습니다.
▶ 이번 7월 스페인 세계여성학대회에 노승희 선생님께서 소장으로 계신 전남대 여성연구소에서도 아래와 같이 2개의 세션을 조직하여 참가하였습니다.
7월 7일 (월) 18:00-19:30
Session 1775: New Trends of Sexuality, Marriage, and the Family in South Korea
(노승희, 윤가현, 차선자, 김미경)
Session 1776: Women's Migration into Korea and Abroad, and Their Intercultural Adaptations
(김명혜, 김경신, 윤선자, 송미성)
.............................................................................................................................................
◈ 신입회원
개인회원
정회원: 박유하(세종대), 서동진(계원조형예술대), 조성희(국립법무병원), 김주희(고려대), 박소라(한양대학교), 성문주(김동성 국회위원), 이여진(광동중), 하혜숙(전주대)
준회원: 이미애(중앙대)
신입회원 분들은 한국여성학회 입회비와 연회비를 입금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회원 전임이신 분들은 입회비를 합하여 8만원을 정회원 비전임이신 분들은 입회비를 합하여 7만원을 아래 계좌로 입금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체회원 경우 입회비 3만원, 연회비 10만원입니다.
입회비 : 정회원 3만원, 준회원 1만원
연회비 : 정회원 전임 5만원, 정회원 비전임 4만원, 준회원 3만원
입금계좌 : 우체국 013870-01-003884 예금주 한국여성학회
.............................................................................................................................................
◈ 알려드립니다.
▶ 제24대 이사회 임원 및 학회 활동을 열심히 해 오신 전남대학교 장미경 선생님께서 간경화로 투병 중이시며 현재 간이식 수술을 위해 중국에 가 계십니다. 장미경 선생님과 함께 학회 임원 활동을 해 오신 선생님들 중심으로 수술비 후원금을 6월 말부터 7월 30일까지 한 달여 동안 모금을 하였습니다. 총 28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셨고, 모금액은 총 삼백사십칠만원(₩ 3,470,000)입니다. 장미경 선생님께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 세계여성학조직 WOWS(Worldwide Organization of Women's Studies) 한국위원회는 지난 7월 3일-9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10차 세계여성학대회에 참석하였던바, 그 활동을 한국여성학회 회원들에게 알립니다.
* 대회 개막식과 폐막식에서 WOWS 대표 (이혜경 위원장) 축사 연설
* 2011년 제11차 세계여성학대회 개최지로 캐나다를 선정함
Women's Worlds
Ottawa-Gatineau
Canada 2011
3-7 July
www.ww-mf2011.ca
* WOWS 사무국을 스페인으로 넘기기로 하되, 향후 WOWS 정관개정 및 지역적, 지구적 네트워킹 강화를 위한 기초 작업이 필요한 바, 이를 위해, 제9차, 10차, 11차 대회 주최국인 한국, 스페인, 캐나다 3개국의 대회조직위원장을 포함한 각 2인, 총 6인의 TF를 구성, 아시아여성학회(AAWS), 유럽여성학회(AT GENDER: ATHENA, AOIFE, WISE가 통합된 조직)와 협조하여 working group을 운영하기로 하고, 한국을 의장국으로 결정함.
참고: 개막식의 첫 연사였던 장필화 제9차 세계여성학대회 조직위원장의 대회참가기가 여성신문에 게재됩니다.